Author Archives: Lee Su Young

2024년 쇠찌르레기 번식 기록 –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쇠찌르레기 Agropsar philippensis 는 “국내에서는 제주도나 남해안의 일부 지방에서 간혹 집단으로 관찰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보기 드문 나그네새이다.”(출처: e-Bird) “……번식은 인가 부근의 숲이나 시가지 등에서 이루어지는데, ……알을 품은 지 8∼11일이면 부화하고 부화한 지 13∼14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IUCN의 관심 대상(Least Concern) 종으로서 세계적인 개체수는 현재 안정적일 것으로 짐작된다.

쇠찌르레기의 서식 범위(출처: e-Bird). 전 세계의 탐조인들이 기록한 관찰 장소가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쇠찌르레기의 우리나라 서식 범위(출처: e-Bird). 한반도를 지나가는 새로서 주로 해안 지역에서 관찰됨을 알 수 있다.

쇠찌르레기는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 관찰하기 어려운 종인데다가 번식 기록은 매우 드물고 내륙 지역의 기록은 더욱 드물다. 따라서 2024년 4월부터 6월까지 쇠찌르레기 한 쌍이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에서 번식한 기록은 무척 유의미하다고 생각된다.  

기록을 개괄하자면, 군남면 선곡리 동일 지역에서 2021년 6월 22일에 처음으로 쇠찌르레기 수컷 한 마리를 관찰했고, 2022년 5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한 쌍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나 번식하지 않았으며, 올해인 2024년 4월 24일부터 6월 17일까지 한 쌍과 또 다른 암컷 한 마리, 총 세 마리가 머물렀다. 올해 한 쌍은 전봇대 꼭대기 구멍에서 성공리에 번식을 마쳤다.

관찰된 세 해 모두 관찰자의 집과 그 주변에 주로 머물렀기에 우연한 관찰이어도 비교적 자세히 보고 들을 수 있었다. 쇠찌르레기의 울음소리는 독특하여 귀에 익으면 거의 혼동하지 않고 식별할 수 있다.

개체행동비고
2021년
622수컷 1텃밭 뽕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다가 60미터 거리의 전깃줄로 날아감.2021년의 유일한 관찰
2022년
5    1한 쌍텃밭 뽕나무에 앉아, 목욕 후 젖은 깃털을 말리고 있었음.이후로 주변의 작은 개울 주변에서 목욕을 즐기며 먹이를 찾아 먹음. 언제나 무척 다정해 보임.
5한 쌍텃밭 뽕나무에 앉아, 목욕 후 젖은 깃털을 말리고 있었음.
21한 쌍개울 주변에서 목욕을 즐기며 먹이를 찾아 먹음.
6  11한 쌍전깃줄에서, 마치 말다툼을 하듯 수컷이 암컷을 향해 큰소리로 울었으며, 암컷은 귀찮다는 듯한 모습을 보임.
14한 쌍전깃줄에 앉아 깃털을 다듬었음.2022년의 마지막 관찰
2024년
424암컷 1텃밭 옆의 전깃줄에 앉아 울었음.뽕나무는 가지치기하여 나뭇가지가 거의 없는 상태였음.
25한 쌍텃밭 옆의 전깃줄에 앉아 울었음.이후 한 쌍과 싱글 암컷 한 마리, 총 세 마리가 함께 텃밭에서 먹이활동을 하거나, 다른 곳으로 함께 날아가거나, 함께 전깃줄에 앉아 있는 모습이 종종 관찰됨.
53한 쌍+ 암컷 1높은 전깃줄에 나란히 앉아 있었음. 암컷 한 마리는 한 쌍과 조금 떨어져 앉아 있었음.짝을 이룬 암컷이 다른 암컷을 경계하는 듯하지만, 서로 적대적으로 보이지는 않음.
4한 쌍텃밭에서 왕성히 먹이활동을 함. 수컷이 기다란 지푸라기 같은 것을 물고 대추나무로 날아올랐음. 둥지 틀 장소를 찾는 듯, 암컷이 해질녘 전봇대 꼭대기 구멍에 고개를 들이밀고 살펴봄. 부부가 전봇대 두세 개를 오가며 탐색하는 듯함.지속적으로 한 쌍 또는 총 세 마리가 하루 종일 텃밭에서 먹이활동을 함. 특히 암컷들이 오랜 시간 먹고, 수컷은 전깃줄에서 망을 봄.
8한 쌍마음에 드는 전봇대 구멍을 결정한 듯함.
10한 쌍+ 암컷 1한 쌍이 전봇대 구멍을 들여다보며 그 앞을 지킴.
11한 쌍+ 암컷 1아침 일찍 텃밭을 찾아와 먹이활동을 함. 부부는 전봇대 꼭대기 구멍을 들락거리고, 하루 종일 구멍을 지키거나 그 주변에 머물고 있음.
20한 쌍+ 암컷 1텃밭에서 활발히 먹이활동. 수컷이 텃밭에서 마른 이파리(주로 대나무 화분 속의 댓잎)들을 부리 가득 물고 전깃줄로 날아오름.이후로 텃밭에 오지 않음.
28한 쌍전봇대 꼭대기 구멍에 암수가 교대로 들어갔다 나왔음. 이후 함께 군남댐 야구장 방향으로 날아감.이후로 한 쌍이, 또는 가끔은 세 마리가 함께 주로 야구장 방향으로 날아감. 물론 다른 방향으로도 날아가곤 함.  
63한 쌍전봇대 구멍 주변에 부부가 앉아 있다가 그중 하나가 부리에 먹이를 물고 구멍에 다가가는 모습이 렌즈를 통해 흐리게 잠깐 보였음
7한 쌍부부가 부리에 날벌레를 잔뜩 물고 교대로 구멍에 들어갔다 나옴.비교적 큰 날벌레 종류로 보임.
10한 쌍부부가 부리에 날벌레를 잔뜩 물고 교대로 구멍에 들어갔다 나옴. 수컷이 먹이를 물고 둥지에 들어갔다가 똥을 물고 나옴.
14한 쌍부부가 부리에 날벌레를 잔뜩 물고 교대로 구멍에 들어갔다 나옴. 암컷이 먹이를 물고 둥지에 들어갔다가 똥을 물고 나옴.
16수컷 1해질녘 수컷이 부리에 먹이를 물고 땅에 가까운 전깃줄에 앉은 채 산자락의 숲 쪽을 보고 있었음.1시간 넘도록 전봇대 구멍에서 관찰되지 않음.아침에 이소를 마친 것으로 짐작됨. 이후 쇠찌르레기 가족은 관찰되지 않음.
17암컷 1아침 일찍 전봇대 구멍을 들여다보고는 군남댐 야구장 방향으로 날아감.싱글 암컷으로 짐작됨. 이후 이 개체도 관찰되지 않음.

세 해의 기록을 비교해 보건대, 2021년은 탐조 초보자 시절이었고 변변한 카메라마저 없었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쇠찌르레기가 머물렀으나 관찰자가 알아채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쇠찌르레기는 비교적 경계를 덜 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쇠찌르레기는 전봇대든 나뭇가지든 한 자리에 비교적 오래 머물곤 했다. 풀밭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먹을 때에도, 바로 옆에서 자동차가 지나가더라도 날아서 도망가지 않고 먹이활동을 이어갔다. 하지만 사람들이 지나갈 때는 대부분 자리를 피했다. 암컷(들)이 먹이를 찾아 먹을 때, 수컷은 가까운 전깃줄에 앉아 망을 보았고 위험이 다가올 때 경계음을 냈다. 자동차와 사람보다 더 경계한 것은 길고양이였다. 길고양이가 멀리 나타나기만 해도 망을 보던 수컷이 날카롭게 경계음을 내서, 암컷(들)이 무조건 전깃줄이나 나무 위로 날아오르게 하거나 함께 둥지로 돌아갔다.    

올해 좀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들이 늘 우리집 텃밭에서 식사를 했기 때문이다. 싱글 암컷 혼자, 또는 한 쌍이, 또는 셋이 함께 와서 먹었다. 특이한 것은 올해 처음 눈에 띈 4월 24일, 25일부터 거의 한 달 동안, 우리집 텃밭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그들의 식탁이었는데, 5월 21일부터는 갑자기 텃밭에 발길을 끊은 것이다. 그때부터는 둥지인 전봇대에서부터 다른 곳으로 날아갔다 돌아오는 모습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그즈음이 아마도 본격적으로 포란이 시작된 시기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우리집 텃밭에서 먹이활동을 할 때, 주로 암컷(들)이 오랜 시간 동안 먹이를 먹었다. 수컷은 ‘과연 언제 먹을까?’라는 궁금증이 들 만큼 오래도록 전깃줄에 앉아 망을 볼 뿐이었고, 암컷(들)에 비해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먹이활동을 했다.

뒤늦게 알게 되었는데, 암컷이 텃밭에서 주로 찾아 먹은 것은 껍질 지름이 1센티미터 남짓한 달팽이였다. 우리집 텃밭은 사실 남들의 눈에 채소밭도 꽃밭도 아닐 수 있다. 특별히 농작물을 기르지 않고, 토종 식물들이 자라나 꽃을 피우는 작은 땅이다. 6년째 어떠한 화학물질도 투입된 바가 없기 때문에 지렁이나 달팽이가 많다.  

암컷 쇠찌르레기는 알 낳기 전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할 필요가 있었고, 우리 밭 달팽이를 맛나게 먹은 것으로 짐작된다. 텃밭에서 수컷보다는 주로 암컷(들)이 활발히 먹이활동을 한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또한 알을 품고 있는 동안, 그리고 부화한 새끼들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동안, 텃밭에는 발길을 끊고 큰 나무나 숲 쪽으로 날아가 주로 날벌레를 잡아온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하나 더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다. 쇠찌르레기들이 전깃줄에서 먹이터를 향해 날아갈 때, 또는 그 반대일 때, 주로 암컷이 먼저 출발하고 수컷은 마치 경호원처럼 즉각 뒤따라 함께하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관찰되었다. 적어도 인간 관찰자의 눈에, 암컷을 향한 수컷의 보살핌은 매우 특별하게 느껴졌다.

이번 여름에 쇠찌르레기가 번식한 건 확실했지만, 이소 직후 갑자기 이들 모두 사라진 것은 이해할 수 없었다. 나일 무어스 박사님은 찌르레기류는 번식지를 매우 빨리 벗어나는 경향이 있다고 가르쳐 주셨다. 조언에 따라 가까운 임진강변에 몇 번 나가 이들을 찾아 보았지만 아직까지 보거나 듣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물증으로서 사진 몇 장을 공유한다. 참고로, ‘새와 생명의 터’는 원칙적으로 알이나 새끼가 있는 둥지를 촬영하거나 공유하지 않는다. 둥지의 촬영이 새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고, 그 결과 종종 둥지 유기 또는 번식 실패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올해 쇠찌르레기 한 쌍이 번식한 곳은 인가 주변 산자락의 전봇대 꼭대기 구멍이었다. 관찰 지점으로부터 직선 거리로 150여 미터 떨어진 곳이다. 관찰자는 니콘 P1000 카메라로 망원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했다.

4월 29일. 한 쌍과 암컷 한 마리. 종종 셋이 함께 다녔다. © 이수영

5월 8일. 한 쌍이 둥지를 결정한 듯하다. © 이수영

6월 7일. 위 수컷. 아래 암컷. 부모 쇠찌르레기가 비교적 큰 날벌레들을 잔뜩 물고 왔다. © 이수영

6월 10일. 아빠 쇠찌르레기가 먹이를 물고 들어갔다가 새끼의 똥을 물고 나왔다. © 이수영

6월 17일. 싱글 암컷으로 추정되는 개체가 이른 아침 전봇대 구멍 안이 빈 것을 확인하고는 날아갔다. 이후로 쇠찌르레기는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는다. © 이수영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흰목물떼새 조사 (3월 28일-4월 3일)

 나일 무어스 탐조 소식 나일 무어스가 전하는 탐조 소식, 이수영, 박사과정생이자 ‘새와 생명의 터’ 인턴 박신영, ‘새와 생명의 터 연천’ 대표 백승광과 (그리고 4월 2일에는 미미 케슬러와 매트 투미 교수와) 함께.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새와 생명의 터에 있습니다. 더 많은 … read more

호사비오리 보전 활동

나일 무어스 보전 활동 나일 무어스 박사, 새와 생명의 터. 2023년 11월 26일. 나날이 황폐해지는 우리 행성의 어느 곳에서든,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진보에는 실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 어떤 종을 목표로 하든, 양질의 조사를 수행해야 하고, 위협 요인을 가려내고 … read more

“연천 호사비오리 보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2023년 11월 21일

 나일 무어스 보전활동 11월 21일, 세계적인 멸종위기종 호사비오리 Scaly-sided Merganser에 관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심포지엄이 연천군에서 개최되었다.  연천군청과 ‘새와 생명의 터’가 주최한 심포지엄은 김덕현 군수님의 개회사로 문을 열고, 김어진 님(유튜버 새덕후로 더 잘 알려져 있는)의 아름다운 짧은 동영상 이 상영되었다. 특별히 이 … read more

2023 ‘생물다양성 탐사단’ 활동을 마무리하며

유네스코MAB한국위원회가 후원하고 연천군청 관광과의 지원하에 ‘새와 생명의 터 연천’이 주관한 2023년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생물다양성 탐사단” 활동이 11월 19일을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6월부터 시작하여, 조류 중심의 탐사 활동을 총 1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회차 날짜 대표강사 장소 중심 주제 1 6. 18.(일) … read more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9월 7-22일

나일 무어스 탐조 소식 새와 생명의 터 조사자 세 명(나일 무어스, 백승광, 이수영)은 9월 7일부터 22일까지 연천에서 조류 85종, 포유류 3종(고라니, 멧돼지, 삵),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민물 거북 1종,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양서류 2종(금개구리 여러 마리와 수원청개구리 1-2마리 청음)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 read more

“저어새 프로젝트”,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나일 무어스 보전활동 나일 무어스 박사, 새와 생명의 터 대표, 2023년 9월 21일. 모든 이미지 저작권은 나일 무어스 / 새와 생명의 터에 있습니다. 9월,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에서 “저어새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생태적 계획 및 설계 프로젝트는 연천군의 용역으로서 새와 생명의 터, … read more

호사비오리 보전을 위해 투표해 주세요!

나일 무어스 새와 생명의 터는 2004년에 출범했다. 우리는 독립적인 NGO로서 회원은 300명뿐이지만, 거대한 사명을 지니고 있다. 한국과 황해생태권역에서 조류와 서식지의 보전이 그것이다. 모든 활동에서, 우리는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최상의 과학에 근거하여 정직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부응하는 발전을 뒷받침하려고 노력한다. … read more

서울외국인학교 그룹4 프로젝트: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한탄강 전곡 구간”

마이클 패런트(과학부장), 에단 조, 최서현 서울외국인학교 과학부는 국제 바칼로레아 대학입학 프로그램의 필수 실습교육의 일환으로 “그룹4 프로젝트”(이하 G4P)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G4P를 위해, 서울외국인학교 학생들은 학과 융합의 소그룹을 짓고, 관심이 가는 지역을 선정하고, 9월 7일로 예정된 현장학습 탐구에 필요한 질문지를 작성했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