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 조사 연구

2022년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배포(Distribution of 2022 Birds Korea Checklist)

새와 생명의 터에서는 2007년부터 다양한 학술자료나 시민과학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을 만들어 정기적으로 개정하고 있습니다. 본 2022년 목록은 2018년 개정판 이후로 관찰된 종들 외에 보전 우선순위와 도래현황 등 종별 특성의 변동을 반영한 것으로 2022년 10월 1일까지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 이후에 공개된 문헌이나 시민과학 데이터 및 본 단체에서 미처 파악하지 못한 정보에 따라서 알려진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해당하는 부분을 본 단체에 알려주시면 논의 후에 다음 개정 작업에 반영하겠습니다.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국문판 다운로드

Download English version of 2022 Birds Korea Checklist

More from Research / 조사 연구

2022년 새와 생명의 터 국명 예외사항

본 페이지에서는 2022년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에서 사용한 국명의 일부 예외사항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단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에서 사용하는 국명은 아래와 같은 원칙을 따르고 있다. 1) 20세기부터 오랫동안 사용해온 국명은 다음의 예외 조건을 제외하고 그대로 사용한다. 예외사항: … read more

새와생명의터 정보지; 제주도 비자림로의 붉은해오라기

붉은해오라기Gorsachius goisagi , 2010년 5월 소청도 ©나일 무어스/Birds Korea 제주도의 의뢰로 진행 중인 비자림로 조류상 조사에서 붉은해오라기 3개체가 관찰되었습니다. 6월 11일에 처음 기록된 이후 14일부터 17일에 걸쳐서 소리가 들렸으며 15일에는 먼 거리에서나마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붉은해오라기는 IUCN에서 위기종(EN)으로 지정한 … read more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2018)

드디어 2018년 새와 생명의 터를 공개하게 되어서 기쁩니다. 영문판과 국문판이 모두 있으며 PDF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권장하는 참고문헌 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나일 무어스, 하정문, 서해민. 2018.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 (2018). 새와 생명의 터, 대한민국 부산. 2018년 새와 생명의 터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