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AFP 공식성명서-유부도 람사르 구역에서의 부적절한…
유부도 람사르 구역에서의 부적절한 도요∙물떼새 포획 관련 공식성명서 스파이크 밀링튼, ‘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장 2012년 9월 5일 “유부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요∙물떼새 서식지로, 많은 도요∙물떼새가 이동 중에 이 곳을 이용한다. 여기에 안개그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아주 많은 새들이 잡힐 가능성 … read more
유부도 람사르 구역에서의 부적절한 도요∙물떼새 포획 관련 공식성명서 스파이크 밀링튼, ‘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장 2012년 9월 5일 “유부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요∙물떼새 서식지로, 많은 도요∙물떼새가 이동 중에 이 곳을 이용한다. 여기에 안개그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아주 많은 새들이 잡힐 가능성 … read more
‘안전하게’ 도요·물떼새를 대상으로 조류독감을 검사하는 법 글: 나일 무어스 박사 (‘새와 생명의 터’ 대표) 번역: 이정규 (전문번역가/새와 생명의 터 자원활동가) 2012년 9월 5일 사진 1: 도요∙물떼새 ‘장바구니’ – 이게 제대로 된 취급 방식일까? 유부도, 2012년 9월 4일 © 이정규/새와 생명의 … read more
“한국의 조간대 물새들, 멸종에 직면하다” 서울 프레스 센터, 2012년 9월 3일 오전 10:00-10:30 행사명: 갯벌의 소리를 느껴라 (Feel the Voice of Nature) 주관: 문화공간 숨도/ 새와 생명의 터 / 마이크로하비타트 후원: 이화여대 에코과학연구소 / 한국 뿌리와 새싹 발표: 박원순 서울 … read more
행사명: 갯벌의 소리를 느껴라 (Feel the Voice of Nature) 주관: 문화공간 숨도/ 새와 생명의 터 / 마이크로하비타트 후원: 이화여대 에코과학연구소 / 한국 뿌리와 새싹 2012년 9월 3일 서울 프레스 센터에서의 언론 브리핑 후에는 람사르가 지정한 조간대 습지인 서천군 금강 하구 … read more
2012년 08월 12일 에코클래스 탐조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처음 집합한 장소에서는 김향이 선생님과 전시진 선생님을 만났다. 사무실에 들어가자 여러가지 목공예품을 볼 수 있었다. 전시진 선생님께서 여러가지 목공예품을 보여 주면서 왜 만들기 시작했는지 설명해주셨다. 절차를 따라야만 하는 정규직 인력들이 하구로 떠내려온 나무를 … read more
출처 및 영문 원본:The Proper Use of Playback in Birding 이 글은 새와 생명의 터의 입장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함께 생각해보자고 올린 글입니다. ——————————————————————————————————————————————————-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적용도에 있어 최근 큰 파장과 함께 새들의 주의를 끌기위한 playback의 사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 read more
KBS에서 4대강에 관련된 내용이 났어요…참고 하시라고 올려 봅니다. 관련 동영상입니다. 출 처: 2012년 7월 31일 KBS ‘시사기획 창’ 이 링크를 클릭해 동영상을 봐주십시오. http://news.kbs.co.kr/society/2012/07/31/2512539.html 총사업비 22조원이 들어간 4대강 사업이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그러나 공정거래 위원회에선 건설사들이 담합해 공사비를 부풀려 수주받았다고 … read more
김산하 박사님, 2012.07.09 http://www.birdskorea.or.kr/Forum/Events/20317 저는 라는 작은 모임을 만들어 활동하고 있는 김산하라고 합니다. 마이크로하비타트는 한국말로 미소서식지라는 뜻인데, 하나의 서식지 안에서 어떤 생물이 구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작은 공간과 조건들을 의미하는 생태학적 용어입니다. 저희는 자연을 보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과학과 이야기가 어우러진 콘텐츠를 … read more
새와 생명의 터는 목포남항도심습지의 일부를 건립 부지로 제안하는 국립호남생물자원관 건립 소식을 접하고 아래와 같이 성명서를 밝히며, 곧 홈페이지 게시와 함께 관련 기관에 공식적으로 전달할 것입니다. 또한 목포남항도심습지 보전을 위한 활동에 힘을 보태주실 분들의 의견과 연락을 기다립니다. 생물다양성 보전과 목포 남항 … read more
목포 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전남 목포시 남항 매립지 갯벌에서 큰뒷부리도요 50~100마리를 확인한것을 밝혔습니다. 그중 3마리는 호주에서 왔고, 이들은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겨울을 보냅니다. 번식지인 러시아에 가는 중 가을에 한국에서 잠깐 머무는 나그네새입니다. YTN: “목포 남항매립지서 큰뒷부리도요 관찰” 한국타임즈: “목포환경련, 호주서 목포 5,000여km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