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가거도에서의 봄소식 (2)
Common Chiffchaff 검은다리솔새 Phylloscopus (collybita) tristis ⓒ 새와 생명의 터 read more
Common Chiffchaff 검은다리솔새 Phylloscopus (collybita) tristis ⓒ 새와 생명의 터 read more
특히 갯벌과 섬에서 다양한 새들을 볼 수 있기에 봄이야말로 탐조를 즐기기엔 최고의 계절 중 하나가 아닐까? 가거도에서 조사 중이신 나일 무어스 대표님께서 지난 주에 120종의 조류를 관찰했다는 소식을 전해 왔는데, 그 중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 Calidris melanotos (4월 21일과 22일) 1 개체와 … read more
글: Tim Edelsten (새와 생명의 터 회원), 국내 영자신문에 기고한 글 번역: 무명씨(?)^^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운전하며, 지금 뻗어 나가는 개발의 바다에 떠있는 이전의 문학산 섬을 지납니다. 이곳 서부에서부터 감각을 무디게 하는 줄지은 동일한 아파트 건물들과 텅 빈 기하학적인 공원 … read more
새와 생명의 터 조사: 국내 호사비오리는140개체 이상! 새와 생명의 터가 2010년에 발행한 ‘대한민국 4대강 사업 예비보고서-물새에 미칠 예상 영향에 대하여-‘에 명시한대로 호사비오리는 생태적으로 하천에 서식하며 감소 중에 있는 지구상 멸종위기종이다. 사람들의 눈에 띄기를 꺼리는 예민한 종으로 거의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 read more
안녕하세요? 새와 생명의 터 여러분! 지인의 블로그에서 담아왔습니다. 감상해보시고나면 우리 지구에 더 깊은 관심을 갖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shorebirds&from=postList&categoryNo=14 즐거운 번역가 몽 – 행운을 퍼드려요 | 시너리 http://ieol.blog.me/60154195399 네덜란드에는 재미있는 게 하나 있다. 바로 ‘동물당Party for the Animals’이 그것. … read more
인천 조력발전소 계획 추진 관계자들께 대한민국 인천만에 계획된 조력 발전소에 대한 우리의 염려를 표하고자 몇 자 올립니다. 인천만 조력발전소는 20.9킬로미터나 되는 제방을 축조하여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천연 조간대 습지의 15%에 해당하는 조간대 습지를 막아 물을 가두는 형식의 조력발전 계획을 … read more
인천 조력발전을 추진하고자 ㈜한국수력원자력발전소(이하 ‘한수원’)와 ㈜에코아이가 작성한 66쪽 분량의 제안서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새와 생명의 터’(조류와 서식지 보전활동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단체)[2]는 인천 조력발전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다음의 일부 문제를 예측할 수 있다. 국내 천연 조간대 습지의 … read more
IUCN (세계 자연 보전 연맹)세계보전총회: 동아시아 조간대 습지 현황 IUCN 인터넷 뉴스레터로부터 IUCN SSC(종 생존 위원회) 회원들에게: 2011년 12월 2일 조간대 습지의 보전 현황에 대한 정보 요청 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조간대 갯벌과 관련 서식지, 특히 진흙과 모래 갯벌의 … read more
넓적부리도요의 생존을 염원하는 이들이 품는 많은 의문 중 하나는 극심한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의 섭식 생태입니다. 이 새는 왜 이와 같은 모양의 부리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무엇을 먹이로 삼는가? 월동 중인 넓적부리도요를 담은 유투브 동영상 모음은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David Sibley, 태국, 2010년 2월: 태국, 2010년 … read more
새와 생명의 터 넓적부리도요 조사단은 9월 27일, 낙동하구 조사 직후, 2011년 9월 30일부터 10월 3일까지 새만금과 금강 하구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 중이며 다시 10월 4일부터 10월 6일까지 다시 낙동강 하구를 조사할 것입니다. 이번 조사의 목표는 넓적부리도요 섭식 생태(2012년 실시 계획) 를 보다 자세히 연구하기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