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로부터의 서한 -인천 조력발전소 계획 추진 관계자들께

 

 

인천 조력발전소 계획 추진 관계자들께

대한민국 인천만에 계획된 조력 발전소에 대한 우리의 염려를 표하고자 몇 자 올립니다. 인천만 조력발전소는 20.9킬로미터나 되는 제방을 축조하여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천연 조간대 습지의 15%에 해당하는 조간대 습지를 막아 물을 가두는 형식의 조력발전 계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2010년 새와 생명의 터 자료). 이 사업계획은 가장 중요하게 남아있는 갯벌 중 일부와 알래스카에서 번식을 하는 적어도 몇몇 도요·물떼새들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것과 동시에 대한민국 황해에 남아있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도요·물떼새의 서식지를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시킬 가능성을 안고 있습니다.  

다른 많은 생태 서비스 이외에 대한민국에서 조간대 습지 (국토해양부 2006)들은 북극의 번식지를 향한  이동 중에 있는12.7 %로 예상되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의 도요·물떼새들과 남쪽으로 이동 중에 있는 8%이상의 도요·물떼새들에게 중요한 서식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무어스 2006).

이러한 도요·물떼새들은 북쪽 또는 남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식량을 찾고 휴식을 취하고 일부는 번식을 위한 안전한 장소를 위해 대한민국 갯벌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들 조류들은 황해에 널리 퍼진 풍부한 조간대에 서식하는 동물상을 먹이로 섭취해왔으며, 일부 장소에는 아직도 먹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조간대 습지들은 그 극적인 손실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의 전체 갯벌의 75 %에 가까운 면적인 약 460,000 헥타르가 매립 과정에 있거나 이미 매립지가 되었습니다(무어스2006). 남은 갯벌의 약 50 %는 현재 이 같은 매립 사업에 의해 위협받고 있습니다. 황해의 갯벌 서식지 손실의 속도와 규모는 세계적 규모로 어디에서도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인천에 위치한 2만 헥타르의 조간대 습지 (제안된 사업 지역)는 이 사업 지역과 인접한 조간대 습지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 지역 대부분의 손실은 먹이활동을 하는 도요·물떼새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도요·물떼새들은 특히 에너지를 요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피어스마와 베이커 2000). 먹이활동 영역이나 먹이의 질이 떨어짐으로 고통 받는 도요·물떼새들이 개체수 감소 없이 다른 지역으로 성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도요·물떼새들은 서식지 손실과 감소로 인한 개체 수 감소를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 Burton 외. 2003, Burton 외. 2006, Baker 외. 2004, Moores 외. 2008).

호주에서 이루어진 최근 분석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철새들의 개체수의 현저한 감소를 보여주고 감소하는 모든 조류들이 이동하는 동안 황해에 의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윌슨 외 2011).

세계의 주요 철새이동경로들 중 하나의 중간 지점에서, 주요 야생 동물 서식지가 급격하게 완전히 손실된다는 것은 지구상 조류 개체군- 많이 공유된 조류 개체군- 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조간대 습지에 의존하는 새들을 포함하여 미국의 알래스카 주에서 번식하는 20 종 이상의 조류들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정기적으로 이동 및 사용합니다.

뉴질랜드에서 위성 안테나를 단 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 baueri (베틀리 외, 언론에서)뿐 아니라 알래스카에서 컬러 밴딩된 민물도요Calidris alpina arcticola (로저스 외. 2006)는 대한민국 황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민물도요와 큰뒷부리도요는 이 사업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도래합니다. 그리고 2007년에 실제로 계획된 사업지역에서 위성장치를 단 큰뒷부리도요들 중 한 마리가 나타났습니다(첨부된 도표 참조). 이 두 종은 모두 알래스카 감시 현황표에 따르면 위기종과 감소종입니다(Kirchhoff 와 Padula 2010). 이 두 종은 황해에서 흔히 도래합니다. 그리고 황해의 갯벌 간척은 이 두 종의 개체 수 감소를 유발하는 요소임을 보여줍니다(Amano 외. 2010).

 

또한, 대한민국의 갯벌은 지구상 극심한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와 지구상 멸종위기종인 청다리도요와 같은 새들의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 두 종은 계획된 조력발전사업 지역에서 도래한 것으로 기록되어왔습니다. 그 후자 종은 정기적으로 그곳에 나타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N. Moores, pers. comm.). 기타 취약한 물새 개체 수들 역시 이 사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들은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종인 저어새, 전세계 취약종인 노랑부리백로, 전세계 취약종인 검은머리갈매기와 세계적으로 취약종인 알락꼬리마도요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모든 종들은 이 사업 지역에 있는 조간대 습지에 생태적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종인 두루미와 전세계 취약종인 붉은어깨도요 역시 정기적으로 이 사업 지역에 도래하고 있습니다(무어스1999). 

 

우리는 특히 탄소 방출을 줄이는 에너지로 전환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확대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에 갈채를 보내는 반면, 그것은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희생시켜가며 이루어져서는 안될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제 2차 국가 생물 다양성 전략 및 실천계획은 (1) 주요 생태계와 서식지의 효과적인 보존 및 (2) 종의 다양성 보존을 요합니다 (대한민국 2009).

 

유엔 청정 개발 체제(CDM)의 목표는 “지속 가능한 성장 및 방출 감소”를 활성화하는 것입니다(http://cdm.unfccc.int/about/index.html). 지속 가능한 성장은 경제적 성장, 삶의 질 향상 및 환경 보호를 바탕으로 합니다 (유엔 뉴스 센터 2011). 계획된 인천 조력 발전소 사업은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대단히 부정적인 국내 및 세계적 결과와 함께 급속하게 사라지고 있는 생태계인 황해에 더 심각한 생태 손실을 일으킴으로 해서 환경에 크게 해를 끼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2011-2020년 생물 다양성 전략 계획과 아이치 생물 다양성 목표(http://www.cbd.int/sp/targets/ 참조)를 포함하는 조치를 채택한 생물 다양성 협약 비준 회원으로서, 우리는 정중하게 여러분이 계획한 인천 조력 발전소에 대한 대안을 고려하도록 촉구합니다.

 

우리는 대한민국이 모든 황해 갯벌 매립 사업을 중지하고 대한민국이 세계 철새이동경로 및 알래스카 주를 포함한 세계 전역 국가에 연결하는 철새 종의 보호에 힘쓸 것을 제안하는 바입니다.

 

우리의 우려를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2011년12월

 

 

Nils Warnock, Ph.D.                                                                                    Joe Liebezeit, M.S.

Executive Director                                                                                       Chairperson

Audubon Alaska                                                                Alaska Shorebird Group

 

Information Sources 정보출처:

Amano, T., Székely, T., Koyama, K., Amano, H. and Sutherland, W. J. 2010. A framework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populations: An example from wader populations in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 Biol. Cons. 143: 2238–2247.

Baker, A.J., P. M. González, T.  Piersma, L. J. Niles, I. de Lima Serrano do Nascimento, P. W.  Atkinson, N. A. Clark, C. D. T. Minton, M. Peck, and G. Aarts.  2004.  Rapid population decline in red knots: fitness consequences of decreased refuelling rates and late arrival in Delaware Bay. – Proc. R. Soc. Lond. B271: 875–882.

Battley, P. F., N. Warnock, T. L. Tibbitts, R. E. Gill, Jr., T. Piersma, C. J. Hassell, D. C. Douglas, D. M. Mulcahy, B. D. Gartrell, R. Schuckard, D. S. Melvilleand A. C. Riegen. In press.Trans-hemispheric migration timing, flight paths and staging in two bar-tailed godwit subspecies. Journal Avian Biology.

Birds Korea. 2010. The Birds Korea Blueprint 2010 for the conservation of the avian biodiversity of the South Korean part of the Yellow Sea. Birds Korea. 대한민국권역 황해의 조류다양성 보전을 위한 새와 생명의 터 청사진2010. http://www.birdskorea.org/BK-Startpage.shtml

Burton N., M. Rehfisch, and N. Clark. 2003. The effect of the Cardiff BayBarrage on waterbird populations, Final Report.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ResearchReport 343.

Burton, N., Rehfisch, M., Clark, N. and S. Dodd. 2006. Impacts of suddenwinter habitat loss on the body condition and survival of redshank Tringatotanus. Journal ofApplied Ecology 43:464-473.

Kirchhoff, M. and V. Padula. 2010.  The Audubon Alaska Watchlist 2010. Audubon Alaska, Anchorage, AK 99501.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Marine Products.  2006. Coastal Wetlands Conservation Plan, presented at the Symposium for Tidal Fla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Gochang, Republic of Korea, 28 September 2006. 

Moores, N. 1999. Korean Wetlands Alliance National NGO Wetlands Report:Ramsar 1999. Published by Yullinmaul, Seoul, 142pp. 

Moores, N.  2006.  South Korea’s shorebirds: a review of abundance, distribution, threats and conservation status. Stilt 50: 62-72.

Moores, N., D. Rogers, R.-H.Kim, C.Hassel, K. Gosbell, S. A. Kim and M. N. Park.2008. The2006-2008 Saemangeum Shorebird Monitoring Program Report. Birds Korea.

              새만금 도요·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 보고서 2006-2008, 새와 생명의 터

Piersma, T. and A. Baker. 2000.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and theconservation of migratory shorebirds. Pp. 105-124 in L.M. Gosling, W.J. Sutherlands (Eds.),Behaviour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Rogers, D. I., N. Moores, and P. F. Battley.  2006.  Northward migration of shorebirds through Saemangeum, the Geum Estuary and Gomso Bay, South Korea in 2006. Stilt 50: 73-89.

Republic of Korea.  2009.  Fourth national report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vailable at: http://www.cbd.int/countries/?country=kr

United Nations News Centre. 2011. Downloaded November 2011 at:http://www.un.org/apps/news/story.asp?NewsID=40099&Cr=sustainable

Wilson, H. B., B. E. Kendall, R. A. Fuller, D. A. Milton, and H. P. Possingham.  2011.  Analyzing variability and the rate of decline of migratory shorebirds in Moreton Bay, Australia. Conservation Biology 25:758-766.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